-
4세대 걸그룹들의 기록 소개 1편아이돌 2022. 9. 21. 15:07반응형
들어가기 전에 - 3.5세대? 4세대?
한국에선 2018 ~ 2020년에 데뷔한 걸그룹들을
3.5세대로 분류해야 할지, 4세대로 분류해야 할지가 뜨거운 감자지만,
보통 해외에선 2018년 데뷔 걸그룹부터 4세대로 분류하곤 하며,
이 시리즈에서는 해외 기준에 맞춰 작성하겠습니다.
걸그룹 전성기?
소녀시대, 2NE1, 카라, 티아라, 브라운아이드걸스, 포미닛, 애프터스쿨, 다비치 등이
한꺼번에 히트곡을 냈던 2세대의 2009년과
트와이스, 레드벨벳, 블랙핑크, 여자친구, 마마무 (소위 트레블여마) 의 구도가 굳혀지고,
여기에 러블리즈와 우주소녀까지 가세한 3세대의 2016년 이후,
2022년 올해가 4세대 여자 아이돌의 구도가 슬슬 굳혀지는 시기로 보입니다.
(아직 YG 차세대 걸그룹과 HYBE 의 아이랜드 2 그룹의 데뷔가 남아 있어
조금 더 봐야 할지도 모르겠지만..?)
2009년 멜론 연간 차트. 여자 아이돌이 1, 2, 3등을 모두 차지했으며, 50위까지 20곡 이상을 집어넣었다. 멜론 개국 이래 가장 빡빡했던 차트로도 언급되곤 한다. 예전과 다른 점이 있다면,
2009년에는 1세대가, 2016년에는 2세대가
이런저런 이유로 대부분 해체 (혹은 활동 중단) 를 했거나 전성기가 지난 상태였지만,
2022년에는 여전히 3세대 대형 기획사 걸그룹 3대장들은 잘 나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거기에 5년 만에 컴백한 소녀시대의 "FOREVER 1" 까지 차트 상단에 자리 잡으며,
2022년 8월에는 2세대 / 3세대 / 4세대 여자 아이돌들 및
1~3세대 여자 아이돌 (베이비복스, 씨야, 라붐) 출신 멤버가 있는 WSG워너비가
멜론 TOP 12 를 독점하는 희귀한 광경까지 볼 수 있게 되었네요!
2022년 8월 29일 멜론 일간 차트 순위.
대체 걸그룹이 몇 팀이나 있는 거야?
2018년 ~ 2022년 10월까지 데뷔한 걸그룹들 중,
음악 방송에 한 번이라도 출연했으며 현재도 활동 중인 그룹은
기존 그룹의 유닛 (ex. 레드벨벳 - 아이린&슬기, 오마이걸 반하나, ...) 과
일회성 프로젝트 그룹 (ex. SM - GOT the beat, 놀면 뭐하니? - WSG워너비, ...)
등을 제외하더라도 70팀 이상 이며,
여기에 데뷔를 했으나 음악 방송에 출현하지 못했거나,
데뷔했으나 현재 해체한 그룹 (ex. IZ*ONE) 들을 합치면
(최소) 150팀 이상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물론 검색해서 조금이라도 정보가 나오는 걸그룹의 숫자만 해도 이렇고,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을 것입니다.
참고로, 작은 기획사에서는 데뷔를 하더라도
음악 방송 (특히 지상파 3사) 에 출연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일입니다.
이 그룹은 지상파 음악방송에 출연하는 그룹입니다. 그나마 다른 중소 기획사 그룹에 비해 사정이 나은 편. 여자 아이돌 전성 시대라 불리며,
이렇게 걸그룹들이 쏟아져 나오는 와중에
모든 팀들을 전부 소개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무엇보다 검색으로 정보를 찾기 힘든 그룹들이 다수..)
1) 2018년 ~ 2022년 사이에 데뷔하여
음악방송에 한 번이라도 출연하여 활동 중이며
(즉 공식 해체 또는 활동 중단 발표 X)
2) 적어도 한 앨범으로 한터차트 초동 1만 장 이상을 기록했으며
3) 멜론 차트 기준 메인 차트 또는 일간 차트 진입,
또는 최신 4주 24Hits / 최신 4주 차트 에 들어 본 그룹
을 기준으로 잡고,
이 기준을 만족하는 총 24팀에 대해 소개해볼까 합니다.
(혹시나 이 기준을 만족하는데 제가 찾지 못한 곳이 있을 수도 있으니,
만약 있다면 댓글로 추가 부탁드립니다.)
멜론 차트? 한터 초동?
한국의 아이돌 팬들에게는 익숙한 용어겠지만,
혹시나 모르는 사람들도 이 글을 볼 수 있으니
각 팀들에 대한 소개 이전에 간단하게 설명해보려 합니다.
(아시면 그냥 넘어가도 됩니다.)
1.
한터 초동 = "발매 후 1주일 간 한터 가맹점에서 바코드가 찍힌 (팔린) 앨범의 수" 입니다.
즉 국내 및 해외 팬덤의 화력을 가늠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입니다.
다만,
아직 전세계의 모든 앨범 판매점의 매출을 다 집계하지는 못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앨범이 이보다 더 팔렸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한터 가맹점 수는 계속 늘어나는 중이며,
이는 최근 아이돌 그룹들의 전반적인 초동 상승 요인 중 하나로 꼽히곤 합니다.
(현재는 전세계 1,500 여 개 판매점과 연동되어 있으며,
국내의 경우 앨범 판매점의 약 95%가 한터차트에 잡힌다고 하네요.)2.
최근 유튜브 뮤직 등 여러 플랫폼으로 이용자들이 분산되긴 했지만,
여전히 국내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음원 사이트인 멜론의 메인 차트는
최근 2차례의 개편을 통해
~ 2020/07/05 : 실시간 차트 (Realtime Chart)
2020/07/06 ~ 2021/08/08 : 24Hits
2021/08/09 ~ 현재 : TOP100
으로 변화했으며, 대략적으로
실시간 차트 (Realtime Chart) : 1시간마다 그 곡의 이용량을 집계
24Hits : 최근 24시간 이내 그 곡을 한 번 이상 스트리밍한
Unique Listener (통칭 UL, 즉 하나의 계정) 를 1시간마다 집계
TOP100 : 24Hits 의 UL과 최근 1시간 이내 그 곡을 한 번 이상 스트리밍한 UL 을
50 : 50 비중으로 1시간마다 집계 (즉 실시간 + 24Hits 의 개념)
한 뒤 (약간의) 다운로드 이용량을 합산하여
1 ~ 100위 까지의 순위를 매기는 시스템입니다.
2018 ~ 2019년의 음원 사재기 파동 이후 메인 차트를 24Hits로 개편했으나,
이후 100위 안에 있는 곡들만 계속 유지되는 현상이 지속되며 (통칭 차트 고인물화)
2021년 1월 최신 1주 24Hits / 4주 24Hits 차트
(즉 최근 1주 / 4주 안에 발매된 곡들만의 차트) 가 추가되었으며,
2021년 8월 메인 차트가 TOP100으로 개편되며
최신 차트도 최신 1주 / 4주차트로 같이 개편되었습니다.
멜론 차트의 역사를 요약하자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 2020.07 2020.07 ~ 2020.12 2021.01 ~ 2021.08 2021.08 ~ 메인 차트 실시간 차트 24Hits 24Hits TOP 100 최신 차트 X X 최신 1주 / 4주 24Hits 최신 1주 / 4주 차트 그 외 X (구) 실시간 차트 (구) 실시간 차트 (구) 실시간 차트 일간 / 주간 / 월간 차트 존재 존재 존재 존재 24Hits 개편 이후 팬덤의 스밍총공을 기반으로 하는
아이돌 그룹들은 큰 타격을 입었으며,
결국 일간 차트 뿐 아니라 메인 차트도
아이돌 팬덤이 아닌 대중들까지 노래를 들어야
차트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BTS를 제외한 남자 아이돌들의
최근 몇 년간 음원차트에서의 전반적인 부진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즉, 최고 순위 (피크) 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난이도는
일간 차트 > 24Hits > TOP100 > 실시간 차트
순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반대로, 24Hits 는 일단 순위를 높게 찍으면 이를 유지하기는 쉬운 편이죠.)
4세대 여자 아이돌들의 기록은?
아래는 24팀의 기록을 차트로 나타내본 것입니다.
Flourish 를 이용하여 좀 더 깔끔한 그래프로 변경하였습니다.
점에 커서를 올리면 팝업에 그룹의 자세한 정보가 나오고,
데뷔 연도별로 필터해서 볼 수도 있어요.가로축은 멜론 일간 차트 최고 순위 (매일 1 ~ 1000등 까지 집계),
세로축은 한터 초동 최고 판매량 이며,
원의 크기는 통산 음악방송 1위 횟수가 많을수록 커집니다.
(위의 차트와 아래 차트의 단위가 다름에 주의하세요.)
즉, 오른쪽에 위치한 그룹들은 "국내에서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은 곡이 있다"
상단에 위치한 그룹들은 "글로벌 팬덤의 구매력이 강하다"
원의 크기가 큰 그룹들은 "음악방송 1위를 많이 했다" 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Q. 왜 유튜브 조회수, 글로벌 스포티파이, 빌보드 200 같은 건 안 들고 오냐?
4세대 그룹들은 최근에야 전반적으로
글로벌 스포티파이에서 높은 순위를 찍기 시작했으며,
유튜브 조회수는 프리징 또는 재업로드 등으로 인한 누락에다,
뮤비가 여러 플랫폼에 올라가는 경우와 아닌 경우가 있으며,
거기에 프로모션이나 중복 스트리밍 등이 섞여
(블랙핑크처럼 압도적인 조회수를 기록하지 않는 이상)
유의미한 지표로 활용하기 어려우며,
빌보드 200은 미국 내 앨범 판매량만 기준이 되어
글로벌 팬덤의 구매력을 측정하기는 힘듭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각각의 그룹 리뷰에서 간단하게 소개할 예정입니다.
4세대 여자 아이돌들을 분류한다면?
그래프의 24팀을 기준에 따라 총 3개의 그룹으로 묶어 보았습니다.
(그룹 내 순서는 데뷔 순입니다.)
1 그룹 (7팀)
(여자)아이들, 있지, 스테이씨, 에스파, 아이브, 르세라핌, 뉴진스
멜론 일간 차트 10위 이내 곡이 있으며, 다음 두 기준 중 하나 이상 충족하는 팀
1) 한 앨범으로 한터 초동 30만 장 이상
2) 한 곡으로 음악방송 5관왕 이상
(사실, 멜론 일간 10위 이내 곡이 있는 팀들은 모두 두 개의 기준 중 하나 이상 만족합니다!)
2 그룹 (5팀)
프로미스나인, 이달의 소녀, 케플러, 비비지, 엔믹스
1 그룹에 속하지 않는 팀 중, 다음 세 기준 중 두 개 이상 충족하는 팀
(이 세 기준을 모두 적용하려 했으나, 두 팀밖에 안 나와서..)
1) 멜론 24Hits / TOP 100 에 차트인, 또는 일간 차트 100위 이내 기록한 곡 존재
2) 한 앨범으로 한터 초동 10만 장 이상
3) 한 앨범으로 (더쇼, 쇼챔을 제외한) 메이저 음악방송 1위
3 그룹 (12팀)
체리블렛, 에버글로우, 로켓펀치, 우아, 시크릿넘버, 위클리, 트라이비, 퍼플키스, 라잇썸, 빌리, 클라씨, 트리플에스
(초동 1만 장 이상 + 멜론 최신 4주 24Hits / 최신 4주 차트 에 차트인한 24팀 중)
위의 두 그룹에 속하지 않는 팀
즉 1 그룹은
국내에서 아이돌의 열성 팬이 아닌 대중들도 알 만한 히트곡이 있으며,
글로벌 팬덤의 강력한 구매력이 있거나
각 방송사별 기준에 따라 음악 방송에서
(때로는 강한 팬덤의 남자/여자 아이돌 또는 솔로 가수들과의 대진에서도)
1위를 여러 번 차지할 수 있는 팀들이며,
2 그룹은
국내 또는 해외에서 팬덤을 꽤 확보하고 있으며,
메이저 음악방송에서도 대진에 따라 한번쯤 1위를 노려볼 만한 정도의 팀들
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아이돌 시장 자체가 (특히 걸그룹은) 워낙 빨리빨리 바뀌는 만큼,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는 팀들은 계속 바뀔 수 있습니다!
지금 전체적인 한터 초동의 상승세를 본다면,
저 기준도 곧 더 올려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다음 글에서, 각각의 그룹에 속한 팀들에 대해 소개해보려 합니다.
반응형'아이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돌 음반 기록의 역사 0편 (0) 2023.01.25 본격화된 '이달의 소녀' 사태, 따져봐야 할 3가지 (1) 2022.12.20 이달의 소녀는 정말 적자일까? (0) 2022.10.30 4세대 걸그룹들의 기록 소개 4편 - 스테이씨, 에스파 (0) 2022.10.02 4세대 걸그룹들의 기록 소개 3편 - 아이들, 있지 (0) 2022.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