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튜브 뮤직 & 차트에 대해 알아보자
    Music & Data 2025. 2. 16. 17:53
    반응형

     

     

    최근 몇 년간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며

    기존 음원 플랫폼들을 위협하고 있는 유튜브 뮤직.

     

    여기에서의 인기곡을 알아보기 이전,

    최근 유튜브 뮤직의 이용 현황과 차트에 대한 이해에 관한 글입니다. 

     

     


    2024년의 유튜브 뮤직은?

     

     

    이전에 2022년의 멜론과 유튜브 뮤직의 이용량을 놓고

    분석을 해본 적이 있었죠.

     

     

    유튜브 뮤직은 정말 멜론을 제쳤을까?

    올해 11월 중순, 이런 기사들이 쏟아지기 시작합니다. "나 떨고있니?"…멜론, 유튜브 뮤직에 韓 '왕좌' 내줬다 - 머니투데이 유튜브 뮤직이 멜론을 제치고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음악 스트리밍

    chartndata.tistory.com

     

     

    그렇다면 2024년, 유튜브 뮤직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요?

     

     

    이와 관련해 설문조사 결과부터 살펴본다면,

     

    위는 중복응답, 아래는 단수응답입니다. (출처: 2024 음악산업백서)

     

     

    별도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결제하고 

    무료로 유튜브를 이용하는 경우를 제외한,

    (유료 요금제를 이용하는) 유튜브 뮤직만을 놓고 봐도

    이제는 상당한 수준으로 올라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명 '유튜브 뮤직 끼워팔기' 에 대한 제재 이후 

    유튜브 프리미엄 없이 유튜브 뮤직만을 이용할 수 있지만,

    가격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유튜브 뮤직 11,990원 / 뮤직 + 프리미엄 14,900원)

    대부분 프리미엄을 결제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혹은 해외 유학?

     

     

    특히 연령별로 본다면

    20 ~ 30대에서는 유튜브 뮤직의 이용률이 더 높다고 하네요.

    (반대로 10대와 40대 이상에서는 멜론이 뚜렷하게 높고요.)

     

    번외로, 60대에서 유튜브로 음악을 이용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네요. (출처: 2024 음악산업백서)

     

     

    또한 Android + iOS 통합 MAU (월간 이용자수) 관련 조사에서

    유튜브 뮤직이 멜론을 역전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고요. 

     

    모바일인덱스의 2024년 국내 안드로이드 + iOS 앱 사용자 MAU 추정.

     

     

    다만 3위에 있는 '삼성뮤직' 이 

    멜론을 연동하여 이용하는 서비스라는 점에서는

    아직 역전으로 보기엔 애매한 측면도 있습니다.

     

     

    이와는 별개로, 제가 따로 했었던 조사 방식으로도 

    2024년 기준으로는 차이가 확연히 좁혀졌음을 확인했네요.

    (멜론 차트곡 스트리밍량 하락 & 유튜브 뮤직 차트곡 스트리밍량 상승)

     

     

    그래서 이제는 유튜브 뮤직이

    (최소한) 멜론을 제외한 나머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들을 압도하는

    한국 대표급 플랫폼이라 봐도 전혀 무리가 없을 수준이 되었다고 볼 수 있겠네요.

     

     


    유튜브 뮤직 차트 정책

     

     

    유튜브 뮤직 인기곡 (Top Song) 차트는

    음원 이용량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이 기준이 되는

    일반적인 음원 차트들과는 여러모로 다른 점들이 있는데요. 

     

    이와 관련해 구글에서 유튜브 뮤직 차트의 정책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즉 유튜브 뮤직 차트 (여기서 Top Song 차트) 의 경우 

    유튜브 뮤직 구독자의 재생량 뿐 아니라 

    유튜브의 공식 뮤직 비디오,

    그리고 그 오디오를 등록하여 만든 영상의 조회수까지도 집계가 됩니다.

    (단, 프로모션 조회수는 제외)

     

     

    다만 2024년 발매된 'UP - Karina Solo' 처럼

    차트에서 누락되는 곡이 생기기도 하는 것으로 보이고요.

     

    국내 음원 차트 1위였으나, 유튜브 뮤직 차트인 기록은 존재하지 않네요.

     

     

     

    또한 주목해야 할 점은 마지막 문구인데요. 

    차트에서 제거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이 되어있지 않아

    제가 직접 여러 곡들의 추이를 확인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차트에 20주 이상 진입한 곡은 50위 밖으로 나갈 시 제외

    • 차트에 52주 이상 진입한 곡은 제외
      (단, 연초 등 약간의 예외는 존재하는 것으로 보임)

    • 차트에서 제외된 이후 재진입 가능

     

     

    어디선가 많이 본 방식인데요.

    바로 Billboard HOT 100의 'Recurrent Rule' 을

    (살짝 다르게) 차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차트인 20주 이후 50위 아래, 또는 52주 이후 25위 아래면 제거.

     

     

    유튜브 뮤직은 이런 방식으로 차트 순환을 시키고 있으며,

    실제로 이 덕에 타 음원 사이트들에 비해 새로운 곡들, 

    혹은 과거 인기곡들이 자주 차트에 올라오는 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 의해 피해를 보는 곡도 생기긴 하네요.

     

    TOP 10 진입 이후 3주 만에 차트에서 제거된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의 추이. (출처: 가이섬)

     

     

     


    유튜브 뮤직 인기곡을 알아보는 방법?

     

     

    매년 연간 차트를 발행하는 음원 사이트처럼,

    유튜브 뮤직도 연간 Top Song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국내 1위, 유튜브 뮤직이 공개한 '2024 한국 음악 결산'

    Billboard Korea is a media channel focusing on enlightening journalism and Interesting videos about everything from music, culture, art and event.

    billboard.co.kr

     

     

    다만 이쪽도 스트리밍 합산 차트다 보니

    집계 기간에 따른 유불리 문제가 발생하고요.

     

    그렇다면 '보정 연간' 처럼 모든 곡들의 발매 이후 52주 이용량을

    집계하는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차트 정책으로 인해 대부분의 곡들이 52주를 채우지 못하며,

    월별 데이터가 있는 써클차트와는 다르게 보정이 불가능)

     

    그래서 유튜브 뮤직 차트 정책에 맞게,

    유튜브 뮤직에서의 인기곡을 알아보는 다음 글에서는

    '피크 20주 스트리밍' 을 측정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대부분의 인기곡들은 20주 이상의 추이가 나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