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보정 연간 차트란? + 2021 ~ 2024 보정 연간
    Music & Data 2025. 7. 15. 18:30
    반응형

     

     

    어떤 해에 많이 사랑받은 노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간 차트를 자주 활용하곤 합니다. 

    그러나 이 연간 차트의 경우 '그 해의 이용량' 이 기준이기 때문에 

    발매 시기에 따라 유불리가 갈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는데요.

    (비유하자면 100미터 달리기 대회에서

    누군가는 10미터, 또 누군가는 50미터 앞에서 뛰는 상황인 것이죠) 

     

    이러한 문제점은 사람들의 음악 감상의 주된 방식이

    다운로드에서 스트리밍으로 변화하며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하반기 (7월 이후) 발매로도 큰 인기를 얻으면

    그 해 연간 TOP 10, 나아가 1위까지도 가능했던

    2010년대 초반까지의 다운로드 시대와는 상황이 달라진 것이죠. 

     

     

    2010년 7월 1일 발매로, 멜론 & 써클차트 연간 1위 기록. 2012년 '강남스타일' 도 7월 발매로 연간 1위.

     

     

    본격적인 스트리밍 시대의 개막으로 볼 수 있는 2016년부터, 

    하반기 발매로 그 해 멜론 & 써클차트 둘 모두 연간 TOP 10 에 든 곡이

    9년간 단 한 곡도 없다는 점에서 

    현재 방식의 연간 차트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꿔 말하면, 연간 차트 상위권을 위해서는 

    상반기에 발매하거나, 또는 연말에 발매해 다음 해를 노리는 것이

    좋다고 볼 수 있죠.

    최근 기준으로는 6월 발매도 늦은 느낌입니다

     

     

    2016년 9월에 발매된 임창정 - '내가 저지른 사랑' 이 

    그 해 써클 연간 9위 / 멜론 연간 13위를 기록한 것이

    스트리밍 시대에 하반기 발매 곡이 기록한 가장 높은 순위입니다.


    2020년 8월에 발매된 직후 3달 가까이 1위를 달린

    방탄소년단 - 'Dynamite' 도 그 해 연간 차트에서는 11위에 그쳤죠.

    (다음 해 연간 3위 기록)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해 발매된 음원들의 시작점을 모두 동일하게 잡고,

    발매 시점부터 총 1년치 (52주) 의 음원 이용량을 집계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연간 차트를 만들어 볼 수 있는데요.

    (즉 1월 1일에 발매했다면 그 해 연말까지, 

    12월 31일에 발매했다면 다음 해 연말까지 집계)

     

    이를 '보정 연간 차트' 라 부릅니다. 

     

     

    2011 ~ 2020 보정 연간 TOP 5. 출처: ZWZIP

     

     

     

    물론 보정 연간 차트의 경우에도 한계는 있는데요. 

    '발매 이후 52주' 를 기준으로 잡기 때문에

    일정 기간을 거쳐 느리게 올라오는 곡이나,

    역주행 곡의 경우 그 인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게 힘들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이러한 곡들은 따로 표기하였습니다)

     

    집계는 2018 ~ 2020년 보정 연간과 마찬가지로

    국내 음원 사이트 (멜론, 지니, 플로, 벅스, 바이브 등) 통합으로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BGM 등을 모두 합산하여 집계하는

    써클 디지털 차트를 활용하였습니다. 

    ('가온차트'가 2022년부터 '써클차트' 로 이름 변경)

     

     

    * 데이터를 옮기는 과정에서 차트상의 누락이 생겨, 이를 추가했습니다.

     

     


    2021년 보정 연간 TOP 10 / 50

     

     

     

     

    보정 연간  곡명 2021 연간 2022 연간
    1 Celebrity 1 52
    2 Next Level 5 25
    * 롤린 (Rollin`) 2 86
    3 신호등 8 13
    4 라일락 4 56
    5 Butter 7 45
    6 사랑은 늘 도망가 86 5
    7 STAY 21 14
    8 바라만 본다 10 48
    9 Peaches 6 129
    10 취중고백 X 3

     

     

     

     

     

    롤린 (Rollin`) 은 2017년 발매로 2021년 역주행한 곡이기 때문에

    순위로는 집계하지 않고, 참고사항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분홍색으로 표기한 다른 역주행 곡들도 마찬가지)

     

     

     


    2022년 보정 연간 TOP 10 / 50

     

     

     

     

    보정 연간  곡명 2022 연간 2023 연간
    1 Hype boy 18 2
    2 LOVE DIVE 1 15
    * 사건의 지평선 38 5
    3 Ditto X 1
    4 TOMBOY 2 43
    5 After LIKE 19 10
    6 Attention 22 9
    7 사랑인가 봐 4 26
    8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7 125
    9 ANTIFRAGILE 89 14
    10 그때 그 순간 그대로 20 71

     

     

     

     

     

    사건의 지평선 은 2022년 상반기 발매 이후 역주행한 곡으로,

    'TOP 10' 차트에서의 점수는 디지털 차트에 재진입한

    2022년 10월부터 52주간 집계된 수치입니다. 


    발매부터의 52주를 측정한 값을 (하늘색)

    보정 연간 순위로 집계합니다. 

     

     

     


    2023년 보정 연간 TOP 10 / 50

     

     

     

     

    보정 연간  곡명 2023 연간 2024 연간
    1 I AM 3 26
    2 OMG 4 59
    3 헤어지자 말해요 8 18
    4 Kitsch 6 88
    5 Super Shy 12 37
    6 퀸카 (Queencard) 7 56
    7 Seven (Clean Ver.) 20 40
    8 ETA 24 34
    9 Spicy 13 52
    10 UNFORGIVEN 11 129

     

     

     

     

     

     


    2024년 보정 연간 TOP 20 (예측)

     

     

    아직 집계가 끝나지 않은 시점에서,

    상위 5곡의 추이와 함께 TOP 20 예측을 공개합니다. 

     

     

     

    유독 추이가 다른 곡이 있네요

     

     

     

     

    여기에서 DAY6의 역주행 곡인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와 '예뻤어' 는

    2024년의 차트인 추이를 기준으로 52주를 측정한 것이며,


    'HAPPY' 는 디지털 차트에 재진입한 시점부터의 52주 (분홍색) 와

    발매부터의 52주 (하늘색) 둘 모두를 표기해두었습니다.


    역주행 추이의 경우 마찬가지로 순위로는 집계하지 않습니다.

     

     

    예측이기 때문에, 최종에서는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