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4세대 여자 아이돌 기록실 - 빌보드 차트 (+ US Spotify)
    아이돌 기록실 2025. 8. 29. 18:29
    반응형

     

     

    이 글을 읽기 전,

    빌보드 차트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이 글을 참고하세요.

     

     

    빌보드 차트에 대해 알아보자

    1894년 엔터테인먼트 매거진으로 시작한 빌보드가 1936년 처음으로 음악 순위를 매기기 시작한 이래, 현재는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진, 전세계적으로 주목하는 차트가 되었습니다. 다만 빌보드 차트

    chartndata.tistory.com

     

     

    현재 버전은 2025년 8월 21일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추후 업데이트 예정)

     

     

     


    0.  4세대 걸그룹과 Billboard

     

     

    앞선 글에서 빌보드 메인 차트에 대해 소개해 드렸는데요. 

    그렇다면 현재 4세대 걸그룹들이

    빌보드 메인 차트에 차트인할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일단, Billboard HOT 100 차트는

    대부분의 그룹들에게 있어 아직 굉장히 높은 산과 같습니다. 

     

    우선 전반적으로 미국 내 팬덤이 크지는 않기 때문에,

    높은 판매량 (Sales) 을 기록하기는 쉽지 않고요.

    또한 영어곡이 아닐 경우 높은 스트리밍 수치나,

    라디오 방송 점수를 기대하기도 힘들기 때문입니다.

     

    피프티피프티의 경우 영어 버전인 'Cupid - Twin Ver.' 를 따로 내고,

    세계 3대 음반 레이블인 워너뮤직과의 계약을 통해

    5월 초부터 라디오 방송을 뚫어냈고요.

     

     

    즉 현재로써는 틱톡 등의 숏폼 플랫폼에서 입소문을 타고

    스트리밍 위주로 차트인을 노리는 것이

    그나마 할 만한 차트인 경로로 볼 수 있겠고요.  

     

     

    개인 정보 유출과 이로 인한 금지 이슈로 꽤 시끄러웠던 틱톡인데, 사실 아시아권 노래가 세계적으로 퍼지는 데 있어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에 비해, Billboard 200 은 미국 내 실물 음반 판매가 진행되고

    판매량이 어느 정도 (대략 5,000 ~ 10,000장) 나와준다면

    차트인을 노려 볼 만한 수준이 되었습니다. 

    팬덤 화력에 따라 TOP 20, TOP 10 등 높은 순위도 가능해졌고요.

     

    물론 걸그룹이라는 태생적 한계 상

    보이그룹보다는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는 것이 힘든 편이고,

    대형 기획사들을 제외하면

    인지도와 팬덤 크기의 측면에서 아직 한계가 보이지만요.

     

     

     


    1.  Billboard HOT 100 - US Spotify

     

     

    이 시리즈에서 다루는 걸그룹들의 곡들 중

    HOT 100 진입에 성공한 11곡의 추이를

    미국 스포티파이 주간 차트 추이와 함께 보겠습니다.

     

     

    이는 스포티파이가 미국 내 가장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이기도 하고,

    현재로써는 걸그룹들의 HOT 100 진입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는

    핵심 지표가 되기 때문인데요.

     

    2024 기준 미국 음원 스트리밍 시장은 스포티파이 - 애플 뮤직 - 아마존 뮤직이 삼분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만, 이 순위가 HOT 100 순위와 그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데요.

    왜냐하면...

    더보기

     

    1)  기본적으로 HOT 100은 '음원 종합 차트' (스트리밍 + 판매량 + 라디오) 인데,

    위에서 언급했듯 스트리밍을 제외한 다른 부문에서는 높은 점수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2)  애플 뮤직, 아마존 뮤직, 유튜브 뮤직 등 다른 주요 음원 사이트들도 있습니다.

    (미국 스포티파이와 애플 뮤직 차트의 경향이 다른 편인데, 

    K-POP의 경우 일반적으로 스포티파이 쪽이 더 높게 잡히는 편)

     

    3)  HOT 100의 자체 규칙들로 인해,

    차트에서의 스트리밍 수치가 그대로 반영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스포티파이에는 광고 요금제 및 자동 재생 (autoplay) 도 있는데

    이것은 현재 HOT 100에서 각각 2/3, 1/2 로만 집계합니다.

    또한, 동일한 곡의 서로 다른 버전들은 하나로 합산하여 집계합니다.

     

     

    즉 '여기서 높은 순위를 찍을 경우, HOT 100 차트인 가능성이 있다'

    정도의 대략적인 잣대로 생각하시면 되겠으며,

    자세한 추이는 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날짜의 경우 HOT 100은 금요일 ~ 목요일을 한 주로 집계하여

    그 다음 주 화요일에 차트가 발행되는데,

    여기에서는 집계 마감일 (즉 목요일) 기준으로 표기하였습니다. 

     

     

    각각의 차트에서 곡명을 눌러 원하는 추이들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피프티피프티 - 'Cupid' 는 HOT 100 차트인 기록을 25주에서 마감했는데,

    이는 HOT 100 에서의 "Recurrent rule" 을 적용받았기 때문입니다.

    (20주 이상 차트인 곡은 50위, 52주 이상 차트인 곡은 25위 밖으로 나가면

    HOT 100에서 제거되는, 스트리밍 시대에서의 차트 순환을 목적으로 하는 규칙)

     

     

     

     

    2023년 7월 발매된 뉴진스 - 'Get Up' 앨범은

    6곡 모두 미국 스포티파이 주간 차트인 및

    Billboard HOT 100 (3곡) & Bubbling (3곡) 에 진입하는 대기록을 세웠습니다.

    개인적으론 앨범명과 같은 30초짜리 곡까지 차트에 진입한다는 것에 놀랐네요.

     

     

     

     

    여기에서 아일릿 - 'Magnetic' 은

    데뷔곡으로 HOT 100 진입에 성공했으며,

    이는 헌트릭스와 사자 보이즈를 제외하고
     
    K-POP 전체에서 유일한 곡입니다.

     

     

     

     

     

    보시다시피 대체적으로 미국 스포티파이 주간 차트보다 

    HOT 100 순위가 낮게 나오는 편이지만, 

    종합 차트라는 특성 상 다양한 요소가 반영되며

    'Recurrent rule' 로 인해 HOT 100 에서 제거되는 곡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HOT 100 순위가 더 높게 나오는 상황들도 존재하곤 합니다.

     

    또한 US Spotify 주간 차트 50위 이내 정도면

    HOT 100 차트인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도 말할 수 있겠네요.

     

     

     


    2.  Bubbling Under HOT 100

     

     

    위에서 다룬 곡들을 제외하고,

    아쉽게 HOT 100 에는 진입하지 못했지만

    Bubbling Under HOT 100 (HOT 100 에 차트인했던 곡을 제외한 101 ~ 125위)

    진입에 성공한 8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여기에 '비교적 꾸준히' 차트인했다고 볼 수 있는 한국 아티스트들의

    HOT 100 & Bubbling Chart 첫 진입 곡 및 최고 성적을 기록한 2곡은

    다음과 같습니다.

     

    더보기

    싸이

    [HOT 100 첫 진입 및 최고 순위]
    '강남스타일' (12.09) - 피크 2위, 31주 차트인
    'Gentleman' (13.04) - 피크 5위, 15주 차트인


    BTS

    [Bubbling Chart 첫 진입]
    '봄날' (17.03) - 15위 

    [HOT 100 첫 진입]
    'DNA' (17.07) - 피크 67위  

    [최고 순위]
    'Dynamite' (20.09) - 3주간 1위, 32주 차트인
    'Butter' (21.06) - 10주간 1위, 20주 차트인

    (이외 콜라보 포함 그룹으로 총 6곡 1위)


    블랙핑크

    [Bubbling Chart 첫 진입]
    '마지막처럼' (17.07) - 13위

    [HOT 100 첫 진입]
    '뚜두뚜두' (18.06) - 피크 55위  

    [최고 순위]
    'Ice Cream' (콜라보, 20.09) - 피크 13위, 8주 차트인
    'Pink Venom' (22.09) -  피크 22위, 6주 차트인

     

    또한 JYP 아티스트들인

    원더걸스 (2009), 트와이스 (2021, 2023, 2025), 스트레이키즈 (2023, 2024) 도

    HOT 100 진입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미국 스포티파이 차트 (US Spotify)

     

     

    2018년 이후 데뷔한 걸그룹들이 발매한 곡들 중 

    미국 스포티파이 일간 차트인에 성공한 곡은 총 25곡이네요.

    이 곡들의 일간 순위, 차트인 기간 및 

    스트리밍 피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의 경우 순위 / 차트인 일수를 눌러 정렬 가능합니다.   

     

     

     

    이 중 뉴진스 - 'Attention' 과 아일릿 - 'Magnetic' 이

    데뷔곡으로 미국 스포티파이 일간 / 주간 차트 진입에 성공한

    K-POP 전체에서 유이한 곡입니다. 


    K-POP 걸그룹 최초 미국 스포티파이 일간 차트 진입 기록은

    레드벨벳 - 'Bad Boy' (2018.02) 가 가지고 있고요. 

     

     

     

     

     

     


    4.  Billboard 200

     

     

    '판매 장수로 환산한 앨범 매출 차트' 로 요약할 수 있는 Billboard 200 에서는

    최근 몇 년간 걸그룹들이 연이어 호성적을 내고 있는데요.

     

    여기에서 다루는 걸그룹들 중 최초로 이 차트에 진입한 앨범은

    2020년 11월 이달의 소녀 - [12:00] 입니다.

     

     

    이 시리즈에서 다루는 그룹들 중 

    현재까지 Billboard 200에 한 번이라도 차트인한 그룹은 11,

    앨범은 총 30개입니다.

     

     

     

    '비고' 에 있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 앨범 : 데뷔와 함께 발매한 앨범이 차트인한 경우,

    혹은 디지털 싱글 등의 발매 이후, 최초로 발매한 앨범이 차트인한 경우. 


    - 첫 진입 : 첫 앨범이 아닌 앨범이 최초로 차트인한 경우. 

     

     

    여기서 표기된 'Units' 의 대부분은 (TEA & SEA 가 아닌)

    'Pure Sales' (실물 + 디지털 앨범 판매) 로 구성된다고 보시면 되며,

    이 앨범들 중 비교적 스트리밍 및 TEA & SEA가 높게 잡힌 앨범은

    다음과 같습니다.

     

    • 뉴진스 - 'Get Up' (23.07, 주간 3439만 스트리밍)

      126,500 Units = 101,500 Pure + 25,000 TEA & SEA

     

    • 르세라핌 - 'UNFORGIVEN' (23.05, 주간 904만 스트리밍)

      45,000 Units = 38,500 Pure + 6,500 TEA & SEA

     

    • 르세라핌 - 'EASY' (24.02, 주간 986만 스트리밍)

      41,000 Units = 34,000 Pure + 7,000 TEA & SEA

     

    • 르세라핌 - 'CRAZY' (24.09, 주간 1208만 스트리밍)

      47,000 Units = 38,000 Pure + 9,000 TEA & SEA

     

    • 르세라핌 - 'HOT' (25.03, 주간 942만 스트리밍)

      45,500 Units = 38,500 Pure + 7,000 TEA & SEA

     

    • KATSEYE - 'BEAUTIFUL CHAOS' (25.06, 주간 2136만 스트리밍)

      44,000 Units = 30,000 Pure + 14,000 TEA & SEA

     

     

    현재까지 K-POP 그룹들 (솔로 제외) 중

    Billboard 200 에서 3위 이내를 기록해본 그룹들의

    최고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위 - BTS (6회), Stray Kids (6회), ATEEZ (2회), SuperM, 블랙핑크, TXT, 뉴진스, 트와이스 

    2위 - Seventeen, ENHYPEN

    3위 - NCT 127, 에스파


    앨범 환산 매출 차트다 보니, 보이그룹들의 강세가 확실히 두드러지는 편이죠.

     

     

    반응형

    댓글